[4] 바이오닉
-
개요
스타크래프트 오리지널 버전 에서는 메딕이 존재하지 않아 사용하기 힘든 체제인데,
브루드 워 버전에서 메딕이 추가되며 이 체제가 전략/전술로 자리 잡았으며,
주로 테저전에서 메카닉과 함께 테란의 전략을 가르는 주요 두 가지 전략 중 하나로 사용된다.
-
상세
일반적으로 스타1 테란의 게임 특성으로 견고한 방어력과 단단함을 강조하지만,
바이오닉 테란은 정반대로 양방치기와 물량으로 승부를 보는 전술이다.
특히 레이트 메카닉 (바이오닉 전술을 운용하다, 메카닉으로 전환)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SK 테란이 저그전 후반의 표준으로 정립되면서 이러한 경향성이 더욱 두드러졌다.
메카닉 테란보다 손이 많이 가고 운영 방식과 개념이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메카닉 테란은 잘 구사해도 전혀 다른 스타일의 바이오닉 테란에 적응하지 못해 불리한 상황에 처한 테란 선수들도 꽤 존재한다.
바이오닉 테란의 가장 큰 장점은 메카닉 테란에 비해 마린과 메딕의 가성비와 회전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점이다.
마린은 자원 50밖에 소모하지 않는 기본 유닛이고, 메딕은 가스를 소모하긴 하지만 크게 부담이 되지 않는 가격이다.
생산 건물인 배럭스도 자원만 소모하기 때문에 인프라를 구축하기도 용이하다.
물론 생마린은 약한 유닛이지만, 스팀팩과 사업이 완료된 마린은 강력한 DPS와 빠른 기동성을 갖게 되며,
스팀팩의 체력 패널티도 메딕으로 상쇄할 수 있다.
특히 저그 유닛들은 하이브 전까지 단일 개체의 체력이 높지 않고 사거리도 짧기 때문에 마린의 화력과 기동력을 이용한 히트앤런 전술이 더욱 빛을 발한다.
따라서 레어 단계 유닛들 상대로 가성비 측면에서 이득을 보는 전투를 해나갈 수 있다.
이러한 마린의 강력한 화력은 건물 상대로도 유효하여, 수송칸을 한 칸밖에 차지하지 않는 점 덕분에 드랍쉽을 이용한 테러 능력이 뛰어나다.
드랍쉽 1~2기 분량의 드랍으로도 멀티를 파괴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드랍은 제대로만 떨어지면 기지를 초토화시키면서 게임을 터뜨릴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파이어뱃은 근접 유닛임에도 체력이 낮고 진동형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저그의 주력 유닛인 저글링을 효과적으로 카운터할 수 있고,
다크스웜 안에서 활약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저그의 방어선을 돌파하는 유닛으로 활용된다.
고스트는 저그전에서는 무용지물이나 다름없고, 락다운 덕분에 이론상으로는 테란전이나 프로토스전에 활용할 여지가 있어 보이지만,
후술할 이유로 실상 프로토스전/테란전 바이오닉 자체가 예능 전략 취급을 받기 때문에 사실상 거의 없는 유닛으로 간주된다.
-
단점
주력 유닛인 마린의 체력이 너무 낮아 스플래시 데미지에는 치명적으로 약하다.
특히 러커는 마린메딕의 천적과도 같은 유닛으로, 소수 싸움에서는 컨트롤로 잘라먹거나 가시밭을 돌파하거나 우회하는 전술이 가능하지만,
러커 수가 쌓이면 단순 마린메딕으로 돌파하는 것은 자살행위와 가깝다.
하이브 테크 유닛들은 하나하나가 모두 마린메딕의 카운터이다. 따라서 테란 쪽에서도 이들을 역으로 카운터할 수 있는 탱크나 베슬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저글링마저도 아드레날린 업그레이드가 되면 마린메딕의 가성비와 인성비를 앞질러 나가기 때문에 후반으로 갈수록 힘이 빠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단점으로는 컨트롤이 어렵다는 점이다.
마린메딕은 그냥 어택땅을 하면 제 효율을 못 내는 유닛이기 때문에 최소한 제때 스팀팩을 사용하고 적절한 컨트롤이 필요하다.
소규모 부대 단위에서는 아마추어들도 그럭저럭 할 수 있지만, 대규모 부대로 넘어가면 배럭에서 유닛을 찍고 드래그해서 어택을 찍는 것도 일이 된다.
여기에 마린메딕만 컨트롤할 게 아니라 베슬로 부지런히 이레디에잇으로 저그의 가스 유닛들을 잘라줘야 하며,
팩토리 유닛들을 쓴다면 탱크나 벌쳐도 바쁘게 움직여줘야 한다.
그리고 바이오닉 테란은 후반으로 가면 저그에게 뒷심에서 밀리기 때문에
저그가 정신을 차리지 못하게 일부러라도 바쁘게 난전을 걸어줘야 하므로 안 그래도 어려운 컨트롤이 더 힘들어진다.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대 저그전에서는 메카닉 테란이 한계가 많은 전략이라 비주류로 밀려난 것도 있고,
상대하는 저그 역시 컨트롤이 어렵기 때문에 어떻게든 저그의 방어선을 돌파하면 불리한 게임도 한 번에 뒤집을 잠재력이 있기 때문에
대 저그전에서만큼은 정석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다.